반응형
[C# 프로그래밍 : 선형자료구조 -04. 연결리스트-1 ]


1. 연결 리스트(LinkedList)란?
- 각각의 데이터가 메모리에 연속적으로 붙어 있지 않고 떨어져 있음.
- 링크 포인터로 다음 데이터 가리키는 데이터 구조
- Head로 출발해서 데이터가 추가될 때마다 노드라는 것이 추가되고 연결됨
- 각 노드는 다음 노드를 찾아가는 링크 포인터를 가지고 있고 링크 포인터를 저장하는 공간도 따로 있음
- Head : 데이터는 없고 링크 포인터를 가짐
- 마지막 노드 : 링크 포인터가 있음-> 불필요한 공간임.
2. ArrayList와 단순 연결 리스트(Singly LinkedList) 비교
- 노드 (하나의 저장 공간) , 링크 포인터(다음 노드를 가리키는 주소) ->ArrayList는 저장공간을 엘리먼트라고 부름
- ArrayList처럼 전체 데이터를 뒤로 밀거나 당기는 일이 없기 때문에 추가와 삭제가 빠름
- ArrayList와 다르게 순차적으로 접근하기 때문에 조회가 느림 -> 따라서 데이터 조회에 적합하지 않음
3. 연결리스트의 종류
- 단순 연결리스트(Singly Linked List)
- 여러 종류 연결리스트 중 가장 간단한 구조
- 하나의 노드 = 하나의 데이터 공간 + 하나의 링크 포인터
- 어떤 데이터도 가능(배열, 클래스 등등)
- 추가 데이터에 대한 연산 불필요 (배열같은 경우는 엘리먼트를 한칸씩 밀어내면서 연산함)
- 구현의 어려움
- 탐색 연산의 비용이 높음
패스트캠퍼스 [직장인 실무교육]
프로그래밍, 영상편집, UX/UI, 마케팅, 데이터 분석, 엑셀강의, The RED, 국비지원, 기업교육, 서비스 제공.
fastcampus.co.kr
<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.>
#패스트캠퍼스 #패캠챌린지 #직장인인강 #직장인자기계발 #패스트캠퍼스후기
#C#과유니티로배우는게임개발올인원패키지Online.
반응형
'코딩 공부 > 패스트캠퍼스 게임 개발 올인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패스트캠퍼스 챌린지 45일차 (0) | 2022.03.09 |
---|---|
패스트캠퍼스 챌린지 44일차 (0) | 2022.03.08 |
패스트캠퍼스 챌린지 42일차 (0) | 2022.03.06 |
패스트캠퍼스 챌린지 41일차 (0) | 2022.03.05 |
패스트캠퍼스 챌린지 40일차 (0) | 2022.03.04 |